〈Peeling〉은 나와 소설가 이경자가 산책과 편지로 이어 온 우정으로부터 출발했다. 나는 이경자와 격주로 만나 산책하며 많은 대화를 나눴다. 밤에는 이경자의 수많은 소설을 읽으며 편지를 썼다. 대화를 나눈 직후 소설을 다시 읽으면, 뼈아픈 주석을 찾아 읽는 기분이었다. 글의 기저에서 수년, 수십 년에 걸쳐 이경자를 아프게도 하고 살아가게도 했던 생의 의미들로 말의 의미가 대체되는 것을 목표했다. 비판은 배움으로, 사랑은 상처로, 농담과 모욕은 삶으로.
종종 이경자의 초기작은 고발형 르포소설로, 후기작은 자기치유적 소설로 평해지곤 한다. 그러나 나는 이에 동의하지 않는다. 이경자는 상처를 전시하거나, 망각하거나, 함부로 봉합하지 않았다. 내가 만났던 소설가는 매일 오전 시간을 쓰고 지우고 다시 쓰는 것에 바치며 시대와 존재의 불화를 충실히 앓아내고 있었다. 우리의 신체가 질병을 견디기 위해 열을 내듯, 성실하게 시대와 불화하는 사람은 여전히 온기가 있다.
〈Peeling〉은 세 여자에 관한 이야기다. 이 세 여자는 각각 순이(『순이』, 2010), 윤이(『사랑과 상처』, 1988), ‘나’(「이별은 나의 것」, 2014)다. 이들은 모두 이경자가 40여 년의 집필 기간에 써왔던 수많은 여성주의 리얼리즘 소설 속의 자전적 화자다. 각각 이경자의 유년, 청년, 노년 시절인 이들은 자신의 시대에 단독자로 살아가는 여성이다. 순이는 천당과 미국을 동경하고, 윤이는 어머니를 염려하고, ‘나’는 막 이혼한 직후 홀로서기를 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대를 건너 발현되곤 하는 유전정보처럼, 실은 이미 혼합되어 있었던 빛처럼, 단절이며 동시에 연속인 ‘우리’가 된다. 머리가 세 개 달린 괴물 케르베로스와 같이 이들은 불화하며 하나의 실존을 공유한다.
영상에 등장하는 세 여자는 어둠 속에서 손전등으로 한 치 앞을 비추며 걷는다. 서로가 걷던 길을 반복하며 걷게 되는 이 경로는 사무엘 베케트의 1981년도 작 〈Quad〉의 사각형 스코어를 삼각진으로 재해석한 것이다. 동시에 소설 속 화자이기도 한 이들은 각기 다른 고유한 삶에 관해 이야기한다. 이경자의 작품에서 인용된 대사들이 지시하는 여성적 삶의 구체성은, 제한된 규칙의 운동 속에서 낭독된다. 반면 암시적이던 세 여자의 공유적 실존은 어둠 속에서 잠시 드러난다.
노년 화자인 ‘나’는 이별 직후 느끼는 상실감과 삶에 대한 사유를 식재료를 다듬고 짐을 정리하는 살림의 행위와 배치하는데, 뫼비우스의 띠처럼 언제나 제자리로 되돌아오는 무용한 노동은 슬픔을 넘어 삶을 지속하는 동력이 된다. 앞서거나 뒤서면서 서로를 견인하는 삶과 생활처럼, Peeling의 텍스트와 이미지는 세 여자의 또 다른 이야기를 만들어간다.
세 손으로 위태롭게 사과 껍질을 깎던 세 여자는 이제 둘러앉아 서로의 다리를 마사지한다. 짧은 격려가 끝나면 그들은 정해진 길을 걷기 시작한다. 이들은 트라우마가 아닌 방식으로, 분열이나 분신이 아닌 모습으로, 약간의 시차와 연대로 공존한다. 그것이 마치 짝수만 출 수 있는 사분의 삼박자 왈츠를 셋이 추려 하며, 자꾸만 서로의 발을 밟는 일이 될지라도.
만든 사람들 원작: 이경자
「이별은 나의 것」, 『건너편 섬』, 2014 『순이』, 2010 『사랑과 상처』, 1998
※ 이 프로젝트는 선잠52, 성북문화재단, 성북구청,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후원을 받았습니다. ※ 이 프로젝트는 선잠52가 주관·주최하고 성북문화재단이 후원한 2021 이야기청_성북의 일환으로 제작되었습니다.
Peeling Single- channel Video, 20’15”, 16:9, 2021
Peeling started from the friendship that I and novelist Lee Kyung-ja built through walks and letters. I met Lee Kyung-ja every other week for walks and many conversations. At night, I read numerous novels by Lee Kyung-ja and wrote letters. Reading the novels again right after our conversations felt like finding and reading painful annotations. The goal was to let the meanings of words be replaced by the meanings of life that had hurt and sustained Lee Kyung-ja for years and decades. Criticism turned into learning, love into hurt, jokes and insults into life.
Lee Kyung-ja's early works are often described as exposé-style reportage novels, and her later works as self-healing novels. However, I do not agree with this. Lee Kyung-ja did not display her wounds, forget them, or hastily suture them. The novelist I met devoted her mornings to writing, erasing, and rewriting, faithfully enduring the discord between the times and her existence. Just as our bodies generate heat to endure illness, a person who sincerely struggles with the times still retains warmth.
Peeling is a story about three women. These three women are Soon-i (Soon-i, 2010), Yoon-i (Love and Hurt, 1988), and "I" (Separation is Mine, 2014). They are all autobiographical narrators in many feminist realism novels that Lee Kyung-ja has written over forty years. Representing Lee Kyung-ja's childhood, youth, and old age, they live as solitary women in their respective eras. Soon-i longs for heaven and America, Yoon-i worries about her mother, and "I" is trying to stand on her own right after a divorce. However, like genetic information that manifests across generations or light that is already mixed, they become "us," simultaneously discontinuous and continuous. Like Cerberus, the three-headed monster, they share one existence while in discord.
The three women in the video walk in the darkness, illuminating the path ahead with flashlights. This path, where they repeat each other’s steps, is a triangular reinterpretation of Samuel Beckett’s 1981 work Quad. At the same time, as narrators in the novels, they talk about their unique lives. The specificity of female life indicated by the lines quoted from Lee Kyung-ja's works is read out within the movement of limited rules. Meanwhile, the shared existence of the three women, which was hinted at, momentarily reveals itself in the dark.
The old narrator "I" juxtaposes the sense of loss and contemplation of life felt right after separation with the acts of preparing ingredients and organizing belongings. The futile labor that always returns to the starting point, like a Möbius strip, becomes the driving force to sustain life beyond sadness. Like lives and livelihoods that pull each other forward or backward, the text and images of Peeling create another story of the three women.
The three women, who precariously peeled apple skins with three hands, now sit around and massage each other’s legs. After a brief encouragement, they begin to walk the designated path. They coexist in a way that is not marked by trauma, division, or duplication, but with slight time lags and solidarity. Even if it means that they keep stepping on each other’s feet while trying to dance a waltz, a three-four time dance only meant for even numbers.
Credit Original work: Written by Lee Kyung ja
Director: Imzizi Cast: Kim Yulmi, Yang Daeun,
Ju Hyeyoung
Choreography: Ju Hyeyoung Cinematographer: Park Syeyoung Operateur: Heo Yoon,
Chang Younghae
Lighting: Kim Changgu Boom-recordist: Hong Jayoung Thanks to: Hwang Jiwon, Han Sang eun, Jung Jiseon, Mimi, Lee Younghyun, Lee Hwiwoong
※ This project was supported by Seonjam52, Seongbuk Cultural Foundation, Seongbuk District Office, and the Arts Council Korea.
※ This project was organized and hosted by Seonjam52 and supported by the Seongbuk Cultural Foundation as part of the 2021 Story Chung_Seongbuk initiative.